<p></p><br /><br />아는기자, 아자 시작합니다. 외교안보국제부 김윤수 기자 나왔습니다. <br> <br>Q. 지난 금요일에 푸틴 대통령 계획대로 되고 있다고 전해드렸는데, 주말 지나면서 기류가 바뀌었습니다. 푸틴 대통령이 핵 카드를 꺼내 든 것도 위기감 때문 같죠? <br> <br> 푸틴은 애시당초 장기전을 염두에 두지 않았던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 에스토니아의 전 군 사령관은 "러시아 전쟁 물자가 사나흘치만 준비돼 열흘이 지나면 전쟁수행 역량이 소진될 것"이라고 관측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 벌써 침공은 닷새째로 접어들고 있지만 수도 키예프를 점령하지 못했습니다. <br> <br>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도 건재합니다. <br> <br> 푸틴은 속전속결로 결론을 내려고 했는데 마음대로 안되자 조바심이 나면서 핵 카드를 꺼냈다는 거죠. <br><br> 푸틴이 최근 "모든 것이 나흘 안에 끝날 것이라 생각했다"며 노발대발했다는 소식도 전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 일각에선 푸틴의 3가지 오판이라는 분석도 나옵니다. <br> <br>자신의 능력을 너무 과신했고, 우크라이나를 너무 우습게 봤으며, 서구의 대응이 가벼울 것이라고 오판했다는 겁니다. <br> <br>Q. 푸틴 대통령의 핵 언급에 국제사회가 한목소리로 “오판하지 마라”고 경고한 건, 워낙 중대 사안이기 때문이겠죠? <br><br>러시아는 실전 배치를 끝낸 1600여 개를 포함해 6000개가 넘는 핵 탄두를 보유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 탄두를 대륙간탄도미사일 등에 장착하면 미국 본토도 타격할 수 있습니다. <br> <br>특히 폭발 위력이 작은 단거리 핵 무기를 전술핵이라고 하는데, 실제 러시아는 이 전술핵 포탄을 쏠 수 있는 자주포를 우크라이나 국경에 이미 가져다 놓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Q. 푸틴 대통령이 핵 관련해서 뭘 할 수 있는 건가요? <br> <br> 푸틴은 닷새 전 우크라이나 침공 개시를 선포하면서 "러시아를 방해하면 전례없는 대가를 치를 것"이라고 경고한 바 있습니다. <br> <br>침공 직전에는 전략 핵무기 훈련을 직접 참관하기도 했습니다. <br><br> 어제는 러시아의 2인자인 메드베데프 국가안보회의 부의장이 "러시아가 모든 핵무기 감축 조약에서 탈퇴할 수 있다"고 경고했습니다. <br> <br>Q. 핵 위협은 말 그대로 위협이지, 실제로 핵무기를 사용할까? (유튜브 : 감**) <br> <br> 푸틴의 이런 핵 위협은 의도적 또는 우발적 핵 전쟁이 발생할 위험성을 안고 있습니다. <br> <br> 전략적으로 단거리 전술핵무기를 사용하거나 의도적이진 않더라도 오판에 의해 혹은 '매드맨'으로 불리는 푸틴 개인 성향에 따라 최악의 선택을 할 가능성, 배제할 수 없단 겁니다. <br> <br>Q. 처음엔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와의 대결처럼 보였는데, 점점 세력간 대결로 커지고 있는 분위기에요? <br> <br> 일본 요미우리 신문 중국 특파원의 오늘자 보도를 하나 보겠습니다. <br><br> "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'러시아를 경제적으로 지원하라'는 특별 지시를 내렸다"고 중국 당국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습니다. <br> <br> 시 주석이 미국과 영국의 제재에 대해 "위법하다"라는 표현까지 썼다는 건데요. <br> <br>러시아에 대한 제재 수위를 높이는 미국 그리고 그 우방국들과는 중국이 대조적인 행보를 보이는 거죠. <br><br>미국에겐 중국이 제재 훼방꾼처럼 보일 겁니다. <br> <br> 과거 냉전시기처럼 국제 사회가 향후 미국과 서방 대 러시아와 중국 양측으로 나뉘어 충돌할 가능성, 적지 않습니다. <br> <br>Q. 지금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에 첫 번째 회담이 진행 중인데, 돌파구가 마련이 될까요? <br> <br> 극적인 타결 가능성은 희박합니다. <br> <br>젤렌스키 대통령조차 "이번 회담의 결과를 믿지 않는다"라고 말했습니다. <br> <br>우크라이나 외무장관도 "항복을 위해 가는 것이 아니다. 우리 영토는 단 1인치도 양보할 수 없다"고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우크라이나 입장에선 전세계적으로 반러 감정이 일고 있는 상황에서 굴욕적인 패배는 인정하기 어려울 겁니다. <br> <br>반대로 국제적 비난과 유례없는 제재를 감수하면서도 천문학적인 전쟁비용까지 쏟아부은 푸틴 대통령으로서도 적당히 물러서진 않겠죠. <br> <br>도리어 최대한 빨리 수도 키예프를 함락시키고 난 뒤 진짜 협상에 나설 가능성이 더 큰 상황입니다. <br> <br>전문가들은 협상 결렬 혹은 장기화를 예측하고 있습니다.